반응형
250x250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Object detection article
- vlm
- open vocabulary segmentation
- gsoc 2025 후기
- 구글 서머 오브 코드
- open vocabulary
- gsoc 후기
- talking2dino 논문
- 원격 학습 안끊기게
- blip-2
- 논문 리뷰
- 구글 서머 오브 코드 후기
- 구글 서머 오브 코드 합격 후기
- 딥러닝 목적함수
- mobilenetv1
- taling2dino 논문 리뷰
- clip
- 이미지 필터링
- talking2dino paper
- 딥러닝 엔트로피
- 1차 미분 마스크
- clip adapter
- object detection
- 객체 검출
- 논문 요약
- gsoc 2025
- gsoc 합격 후기
- 에지 검출
- 기계학습
- 엔트로피란
Archives
- Today
- Total
My Vision, Computer Vision
구글 서머 오브 코드(Google Summer of Code) 합격 후기 본문
GSoC(Google Summer of Code) 2025
- 구글 서머 오브 코드는 여름에 진행되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이다.
- 여러 해외 기업들이 프로젝트를 들고오면 프로젝트 당 학생 한명씩 맡고, 해당 기업 멘토들이 도와주고 피드백을 주는 그런 시스템이다.
- Organizations List를 보면 AI, Security, Web 등 필드 별로 구분되어 있고 AI 분야에는 무려 딥마인드도 있다.
- 나는 인텔의 OpenVINO에 지원했는데(총 3개까지 가능한데 1개만 함), 딥러닝 모델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툴킷이다.
- 컨택부터 지원까지의 과정은 기업마다, 프로젝트 멘토마다 다른데 내 경험을 바탕으로 후기를 남긴다..
프로젝트 공개 및 컨택(2/27 ~ 3/24)
- GSoC 2025는 2월 27일에 기업 별 프로젝트가 모두 공개됐다. AI 분야에는 약 40개 정도의 기업이 참여했고, 기업마다 10~20개 정도? 프로젝트가 있었다.
- 원래대로 라면 한달 동안 자신이 지원할 프로젝트를 선별하고 멘토와 컨택해야 한다. 나는 3월 중순쯤에 GSoC를 알게돼서 급하게 시작했다..
- 우선 모든 프로젝트의 개요를 훑으면서 내가 할 수 없는, 흥미가 없는 프로젝트들은 다 쳐냈다. 결국 관심있는 프로젝트는 한 개 밖에 없어서 그냥 하나만 팠다.
- 내가 지원한 OpenVINO의 경우 지원자들이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한 메뉴얼이 자세하게 나와있어서 그거대로 따라했다. 기업마다 다르겠지만 나는 깃헙 디스커션에서 멘토와 컨택하고 Prerequisite task를 할당받은 다음, 완료해야했다.(완료가 필수는 아님)
- 깃헙 디스커션에 이미 몇 명이 내가 하려는 프로젝트 멘토들과 컨택하고 있었는데, 거기에 들어가서 냅다 자기 소개, 지원 동기, 프로젝트 경험을 댓글로 남겼다.(다들 그렇게 함)
- 그렇게 Prerequisite task를 할당받고 3~4일 정도 걸려서 완료했다.
지원서 신청 기간(3/24 ~ 4/8)
- 이제 Proposal을 작성해야 하는데, 나는 일단 미리 초안을 써놨기 때문에 Prerequisite task를 끝내자마자 멘토에게 리뷰해달라고 부탁했다.
- 아무것도 모르고 시작한 거라 제안서 만드는게 제일 어려웠다. 일단 GSoC 가이드(https://google.github.io/gsocguides/student/writing-a-proposal)와 Youtube에 있는 합격자 제안서 예시, 한국인의 GSoC 후기를 주로 참고했다.
- 다들 논문 형식으로 10페이지 정도 쓴다던데 GSoC 가이드에 나와있는 목차에 맞춰서 쓰다보니까 9페이지 정도 나왔다. 일단 나는 프로젝트 개요와 타임라인에 좀 힘을 실어서 썼다.
- OpenVINO에서 제공하는 지원서 목차 형식도 있었는데 멘토가 GSoC 공식 가이드에 맞추는게 좋을 것 같다고 해서 그렇게 바꿨다.
내가 쓴 제안서 목차는 아래와 같다.
Project Title
Personal Details / Academic Details
Abstract
1. Benefits to Community
2. Deliverables
2.1. Solution Overview
2.2. Timeline & Implementation Details
3. Prerequisite Tasks(내가 할당받은 사전 과제. 기업에 따라 없을 수 있음)
4. About Me
4.1. Experience in Machine Learning & Deep Learning
4.2. Personal Motivation
5. Time Commitment & Availablity
6.1. ~ 6.5. General questions(OpenVINO에서 제공하는 양식에 포함된 질문들)
Reference
- 프로젝트 당 한명의 지원자가 선발이 되는데, OpenVINO 공지사항에 따르면 한 프로젝트에 많으면 15~20명 정도가 지원했다고 한다. 근데 내 프로젝트에는 운이 좋게도 3명 정도였던 것 같다.
- 멘토들은 지원자들의 지원서에 랭크를 매긴 후 구글 리뷰어에게 전달한다. 리뷰어가 지원서를 다 리젝하면 이 프로젝트는 무산되는 거라고 하던데.. 그래서 최종 관문은 리뷰어인 것 같다.
합격
- 이렇게 메일이 온다.
- 결과가 새벽 3시에 나온다고 되어있었는데, 10분 동안 메일이 안와서 떨어진 줄 알았다. 딜레이가 좀 생기는 것 같다. 15분 정도?
- 레딧에서 사람들이 댓글단걸 몇개 봤는데 불합격해도 메일은 보내준다고 한다.
728x90
'WorkPlac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졸업 논문/프로젝트]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상황 검색 가능한 비디오 플레이어 구현 (2) | 2024.12.04 |
---|---|
이미지에서 원하는 텍스트 뽑아내기, 이미지 캡셔닝 BLIP-2(Colab 가능) (0) | 2024.03.28 |
이미지와 텍스트 유사도 측정하기, Open AI CLIP(Colab 가능) (0) | 2024.03.27 |